본문 바로가기
투자/이차전지 스터디

포스코 리튬사업의 손익분기점을 살펴보자!

by 내일의 작가 2025. 7. 26.
반응형

포스코 리튬사업의 손익분기점은?

리튬 가격 6만 위안대에서 포스코는 수익을 낼 수 있을까?

 

최근 몇 년간 리튬 가격은 전기차 산업 성장과 함께 급등했다가, 2023~2024년을 거치면서 다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들어 리튬 시장은 다시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7월 현재 중국 탄산리튬 현물 가격은 약 67,000위안/톤(≈ $9,200/톤)(7.25기준)입니다. (출처: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71612453937434)

 

이 가격이 포스코홀딩스의 리튬사업 손익분기점(BEP)과 비교했을 때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일까요?

 

저 역시 2차전지 관련 투자와 산업 동향을 꾸준히 보고 있지만, 리튬 가격의 등락은 언제나 긴장감을 주는것 같습니다.

 

포스코가 대규모로 진행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염호 및 호주 필바라 프로젝트는 BEP가 다르기 때문에, 현재 시세에서 어떤 프로젝트가 유리한지 하나씩 짚어보고자 합니다!


 

포스코 리튬사업 BEP는?

최근 기사에 따르면 포스코의 주요 리튬 프로젝트 BEP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7,500/톤 (≈ 53,900위안/톤)
  • 호주 필바라 광석 기반 리튬$15,000/톤 (≈ 107,800위안/톤)

 

현재 리튬 가격과 비교

현재 탄산리튬 현물 가격은 67,000위안/톤(≈ $9,200/톤)입니다. 이를 BEP와 비교해보면:

  • 아르헨티나 프로젝트: 현재가 $9,200 > BEP $7,500 → 이론상 흑자 가능
  • 필바라 프로젝트: 현재가 $9,200 < BEP $15,000 → 적자 지속

마치며

리튬 가격이 6만 위안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는 건 전기차 및 2차전지 산업 전반에 중요한 시그널입니다.

 

포스코의 아르헨티나 프로젝트는 현재 가격에서도 수익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광석 기반 필바라 프로젝트는 여전히 손익분기점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리튬 단가가 중국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크게 받다보니, 외부 환경을 예측하기란 쉽지가 않은데요,

 

그나마 개인투자자가 할수 있는건  앞으로 포스코가 공정 효율화와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통해 리튬 가격 변동성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업 구조를 만들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https://info-everything1.tistory.com/entry/%EB%A6%AC%ED%8A%AC-%EA%B0%80%EA%B2%A9-%ED%99%95%EC%9D%B8%ED%95%98%EB%8A%94-%EB%B0%A9%EB%B2%95-2%EC%B0%A8%EC%A0%84%EC%A7%80-%ED%95%B5%EC%8B%AC%EC%86%8C%EC%9E%AC-%EB%8B%88%EC%BC%88-%EC%BD%94%EB%B0%9C%ED%8A%B8-%EB%A7%9D%EA%B0%84-%ED%8F%AC%ED%95%A8

 

리튬 가격 확인하는 방법 (2차전지 핵심소재 니켈, 코발트, 망간 포함)

2차전지 산업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산업 구조상 리튬 가격에 관심을 많이 가질수 밖에 없는데요, 보통은 뉴스기사 등 2차 가공 정보를 통해 리튬가격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시리라 생각됩니다.

infonararo.info-nararo.com

 

반응형